도시가스 요금 인상 소식
이번에 도시가스 요금 인상 소식이 있었습니다. 다음달인 2022년 10월 1일부터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이루어지는데요. 서울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월 5,400원씩을 추가적으로 납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30일 도시가스 요금을 MJ(메가줄) 당 2.7원 올린다고 발표하였습니다. 인상되는 정도는 주택이 16퍼센트 정도이며 음식점, 구내식당, 이미용실, 숙박시설, 수영장 등의 영업에서는 16.4%, 목욕탕과 쓰레기소각장에서는 17.4%정도를 인상한다고 하였습니다. 만약 2000MJ정도의 가스를 사용하는 서울 가구라면 월 3만 3980원 정도의 돈을 내는 것이 맞았으나 10월부터는 부가세 10%가 포함된 금액인 월 3만 9380원을 내게 된다고 발표하였습니다.
도시가스 요금 인상 원인
도시가스의 경우에는 발전 원료인 LNG(액화천연가스)의 수입단가인 원료비와 도소매 공급비로 구성되어집니다. 즉 LNG의 원료비가 상승하게 될 때나 도소매에 공급할 때의 공급비가 증가하게 되면 도시가스의 가격이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. 산업부에서 발표하기로는 LNG(액화천연가스)의 원료비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스요금은 많이 상승하지 않아서 미수금이 많아졌다고 발표하고 있습니다. 올해 이 미수금이 사상 최고치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더 심한 적자를 막기 위해 최소한의 가스 요금 인상을 강행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. 현재 2분기 기준으로 미수금(요금으로 회수되지 못한 금액)이 5조 1000억원에 달한만큼 산업부의 고민이 타당하다는 의견도 많습니다.
도시가스 앞으로의 전망
만약 이 미수금이 더 쌓이게 된다면 겨울철에 가스 조달 역시 어려워지면서 원할 때 가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습니다. 요즘 LNG의 가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환율 역시 급등하게 되면서 LNG의 가격이 안정화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. 물론 앞으로 경제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게 되면 LNG의 가격이 낮아질 수 있겠으나 당분간은 가스의 요금이 낮아질 것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.
도시가스를 위한 우리의 방향성
당연히 도시가스를 절약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입니다. 가스를 절약하는 것 역시 자원을 절약하는 것과 일맥상통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예방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.
1. 겨울 철 내 집안에서 따뜻한 옷을 입기
보일러를 트는 것보다 따뜻한 옷을 입음으로써 겨울 철 내 집안에서 보일러를 트는 시간을 줄여야할 것입니다. 이는 많은 가스소비량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.
2. 집 전체를 데우는 보일러 보다 온수매트 및 전기장판 사용하기
집 전체를 데우는 보일러보다 온수매트 및 전기장판을 사용하여 필요한 곳에만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도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라고 생각합니다.
이 두가지 방법외에도 가스를 사용하고나서 밸브를 잠구거나 집밖을 나갈 때에는 외출버튼을 누르는 등 가스를 아끼기 위한 방법은 정말 많습니다. 에너지를 조금씩 아끼면서 지구를 아낄 뿐만 아니라 에너지 부족 상황에서도 잘 대처할 수 있길 바랍니다.
'경제용어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물경제란? 실물경제 뜻, 전망 알아보기 (1) | 2022.10.02 |
---|---|
경상수지란? 뜻, 의미 알아보기 (0) | 2022.10.01 |
달러인덱스 의미, 뜻 전망 알아보기 (1) | 2022.09.29 |
한국전력공사(한전) 적자 이유, 원인, 전망 알아보기 (0) | 2022.09.28 |
2022년 요즘 달러가 비싼이유 알아보기 (2) | 2022.09.25 |
댓글